728x90
반응형

전체 글 239

차도가 아닌 장소에서 보행자 횡단사고 과실

1. 아파트단지나 공장, 군부대 등 차도가 아닌 장소에서 보행자 횡단사고 과실 0      2. 사고 상황아파트 단지 내, 공장 등 산업단지 내 및 군부대 내 등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 규정의 도로외의 장소에서 진행하던 차량이 전방에서 횡단 중인 보행자를 충격한 사고이다.  3. 과실 해석 도로교통법 제27조 제6항에 따라 ‘도로 외의 곳’에서 운전자의 서행 및 일시정지의무가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기본 과실비율을 0%로 정하였다.  4. 수정 요소① 보행자가 인라인스케이트나 퀵보드 등을 착용한 상태로 도로 외 장소에서 차량의 전방을 횡단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전방주시의무를 준수하더라도 보행자를 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보행자의 중대한 과실로 보고 사고발생 경위 등을 감안하여 보행자의 과..

교통사고과실 2024.08.11

장마철 이후 중고차 구입시 카히스토리에서 침수차 확인 필수

해마다 침수차량의 95.2%가 7~10월에 발생하여 침수차량이 중고차 시장에 무사고차량으로 유통될 수 있음중고차 구입시 반드시 보험개발원의 카히스토리에서 침수차량 조회서비스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수. □ 최근 5년간(2019~2023) 침수사고는 33,650건이며 이중 침수전손*24,887건, 침수분손*은 8,763건임* 전손: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수리비가 차량가격을 초과하는 손해, 분손: 그 외 일부손해o 연간 차량침수피해 중 장마철 집중호우 및 태풍 등으로 인한7~10월 침수사고 비중이 95.2%를 차지함□ 전기차 등 첨단기능의 전자장치를 장착한 요즘 차량들이 침수될 경우 기능 고장 및 오작동 등 사고를 유발하여 운전자의 안전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음o 장마철 이후 중고차 구입 시, 특히 침수사고..

배달 공제보험 출시 / 최저가 배달 공제보험 / 유상운송 공제보험

□ 6월 25일 보험사 대비 최대 32% 저렴한 배달종사자용 공제보험상품이 출시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배달종사자의 유상운송용 보험료 인하 및 가입률 제고를 위해 설립된 배달서비스 공제조합*(이사장 주용완, 이하 조합)이 사업 개시 준비를 마치고 6월 25일 첫 시간제 공제보험상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인증사업자 8곳(우아한청년들, 쿠팡이츠, 플라이앤컴퍼니, 로지올, 바로고, 만나코퍼레이션, 부릉, 래티브)이 공동 설립한 비영리법인(’23.5. 설립인가) □ 이번 공제보험상품 출시는 지난 5월 “제25차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5.14)”의 후속조치 일환이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배달종사자들은 늘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만 보험료가 비싸서 가입조차 어려..

주차장에서 도로진입사고 과실 / 주유소에서 도로진입사고 과실 / 도로에 진입하는 자동차와 사고 과실

1. 도로에서 직진 자동차 (A) 20 : 도로가 아닌 장소에서 도로진입 자동차 (B) 80      2. 사고 상황중앙선이 설치되어 있는 도로(차도)를 진행하는 A차량과 도로(차도)가 아닌 장소에서 우회전을 하여 A차량이 진행하는 차도로 진입하고 있는 B차량이 충돌한 사고이다.  3. 과실 해석도로교통법 제18조 제3항에 따라 차도가 아닌 장소에 있는 차량은 도로 진입시 일단 정지후 안전여부를 충분히 확인하면서 서행하여야 할 의무를 지고 있지만, 도로에서 진행하는직진차량도 차도가 아닌 장소에서 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의 유무와 동태를 주시하여야 할기본적인 의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차도가 아닌 장소에 있던 차량인 B차량이 우회전을하여 양 차량의 기본 과실비율을 20:80으로 정한다.  4. 수정 요소..

교통사고과실 2024.07.25

휴가철 음주운전 특별단속 / 음주운전 교통사고 현황

경찰청(청장 윤희근)에서는 각 시도 자치경찰위원회와 협조하여 7월 1일(월)부터 8월 31일(토)까지 2개월간 음주운전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작년 4월 대전의 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음주운전 교통사망사고 이후 음주운전에 대한 대대적인 집중단속과 캠페인 등을 통해 2023년 음주운전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2년보다 큰 폭으로 감소(-25.7%, 214명→159명)한 바 있다.  연도별 전체 / 음주운전 교통사고 현황>구분사고(건)사망(명)부상(명)전체음주비율전체음주비율전체음주비율2019년229,60015,7086.8%3,3492958.8%341,71225,9617.6%2020년209,65417,2478.2%3,0812879.3%306,19428,0639.2%2021년203,13014,894..

휴가철 렌트카 수리비, 면책금 과다 청구 주의 / 렌트카 이용시 주의사항

1.  렌터카 사고 발생 시 수리비·면책금 등 과다 청구 분쟁 과다최근 5년간(2019년~2023년) 접수된 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1,743건) 대다수(77.0%, 1,342건)는 ’계약‘ 및 ’사고‘ 관련 분쟁으로, 2022년까지는 계약해제·해지, 계약 불이행 등 계약 관련 분쟁이 많았으나 2023년에는 렌터카 사고 발생에따른 분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사고’ 관련 분쟁만 전체 접수 건의 35.4%인 617건으로, 이중 수리비·면책금·휴차료 등 사고처리 비용 과다 청구 피해가 74.2%(458건)로 태반이었다. 이어 ‘면책 또는 보험처리 거부‘ 피해도 17.3%(107건)로 나타났다.특히 사고처리 비용과 관련해 렌터카 반납 현장에서 명확한 견적 없이 수리비 및 면책금을 일괄 청구하거나, ..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2013년부터 11년 연속 감소하며 교통사고 통계관리(1970년~) 이후 역대 최저 사망자수를 기록했다. 도로교통공단은 2023년도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전년대비 6.7%(-184명) 감소한 2,55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대표적인 국가 간 교통안전수준 지표인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수」도 4.9명까지 감소했다. * 인 구 10만 명 당 사망자수 : (’21) 5.6명 → (’22) 5.3명 → (’23) 4.9명 【OECD 평균 (’21) 5.3명】* 자동차 1만 대 당 사망자수 : (’21) 1.01명 → (’22) 0.93명 → (’23) 0.86명 【OECD 평균 (’21) 0.98명】 ※ OECD 회원국 사망자수 정보는..

횡단보도 녹색점멸 횡단개시 적색충돌 사고 과실

1. 보행자 녹색점멸 횡단개시 적색 충돌 20 : 자동차 적색 진입 80      2. 사고 상황신호기가 있는 횡단보도에서 적색신호에 교차로를 통과한 차량(직진, 좌회전, 우회전 규제를받는 우회전 차량)이 보행자신호등 녹색점멸신호에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던 보행자를 보행자신호등 적색신호로 바뀐 상황에서 충격한 사고이다. 3. 과실 해석차량이 신호를 위반한 사고이나, 보행자가 보행자신호 녹색점멸신호에 횡단을 개시하였고보행자신호 적색신호에 충돌하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보행자의 기본 과실비율을 20%로 정하였다. 4. 수정 요소ⓛ 야간, 기타 시야 방해, 간선도로, 보행자 급진입, 보행자 정지, 사행, ㄹ자 보행의 경우 보행자 과실 5% 추가할 수 있다.② 집단 횡단이나 주택, 상점가, 학교나 어린이, 노인, 장..

교통사고과실 2024.07.08

손가락 상해급수 / 손가락 부상급수

교통사고 상해급수는 책임보험 한도금액과 부상위자료, 간병비의 지급기준이 됩니다.1급부터 14급까지인 상해급수에서 손가락 부상에 대해서 별도로 정리한 내용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손가락 상해급수 7급 18항. 손허리손가락관절의 골절 및 탈구  8급 13. 손가락뼈의 몸쪽 손가락뼈 사이 또는 먼쪽 손가락뼈 사이 골절 탈구      14. 다발성 손가락뼈 골절      15. 무지 손허리손가락관절 측부인대 파열       19. 손발가락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9급 10. 손가락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1. 손가락관절 탈구   10급 6. 손발가락관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1급 3. 손가락뼈 골절 또는 손가락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

손해사정자료 2024.07.05

유병자보험 분쟁 사례 / 간편보험 분쟁 사례

1. 유병자 보험 특징계약전알릴의무(‘고지의무’) 사항이 축소되어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병 보유자도 보험가입 가능 ◦ 간편보험은 일반보험보다 묻고 있는 질병의 종류가 적고, 질병 이력 기간도 짧으며, 치료 방식도 입원·수술 등으로 한정 □ (보험료) 고지항목이 축소된 대신 보험료는 일반보험보다 비쌈 □ (보장범위) 암, 뇌혈관질환 등 중대질병 진단비, 입원·수술비 등을 보장하며, 일반보험보다 보장내용이 적을 수 있음  2. 유병자보험 분쟁 취약 요인간편보험은 보험가입이 어려운 유병자가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되 보험료를 높이고 보장내용을 제한한 상품인데, ◦ 가입의 간편성만 강조되다 보니 건강한 사람이 일반보험 가입가능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채 간편보험을 가입하게 되는 경우 발생 간편보험의 경우 보..

728x90
반응형